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코너킥 2방으로 FC서울이 포항 스틸러스를 2-1로 이겼다. 초반 경기력은 포항이 좋았다. 준비했던 2:2 플레이와 압박으로 서울을 괴롭혔다. 그러나 FC서울의 득점 이후 포항의 경기력은 급속도로 나빠졌다. 후반까지 이어지면서 포항은 홈에서 서울에게 패배하게 되었다.
FC서울의 후방 빌드업
대표사진 삭제
후방 빌드업
FC서울은 이번 경기에서 후방 빌드업을 하려고 의도적으로 자기 진영에서 볼을 돌렸다. 수비형 미드필더 오스마르를 센터백 라인까지 내려, 후방 빌드업에 가담하게 하였다.
앞선 2경기에서 빌드업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을 고쳐 점유율도 가져가는 경기를 하고 싶었던 것 같다. 미드필더 구성도 1R 강원 전보다 나았던 2R 광주 경기 선수들을 활용했다.
* 1R 강원- 오스마르 주세종 알리바예프
2R 광주- 오스마르 한찬희 한승규(고요한)
그러나 포항의 먹이가 되었다
대표사진 삭제
후방 빌드업을 방해하는 포항
서울의 빌드업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는 포항은 서울의 미드필더에게 압박을 시도해 서울의 빌드업을 어렵게 하였다. 실제로 이 압박을 통해 FC서울 김남춘과 유상훈의 실책을 유도해 선제 득점에 성공했다.
서울은 포항의 전방 압박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 빌드업을 도와줄 고요한은 전방으로 나가기 바빴다. 결국, 오스마르와 한찬희가 2선에서 볼을 간주, 배급해야 하는 압박에 시달려야 했다.
레프트 윙백으로 나온 김한길의 패스 미스로 자기 진영에서 역습을 당하는 위협적인 상황도 종종 있었다. 탈압박에 대한 움직임과 약속된 플레이는 여전히 개선돼야 할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2선이 3선에 가깝게 붙으면서 1선과 거리가 상당히 멀어지게 되었다. 1선인 박주영과 한승규가 라인을 뒤로 물리면서 간격을 좁혀야 했지만, 박주영은 활동량이 적고, 한승규는 공격 성향이 강해 빌드업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세련미가 있었던 포항의 스페이싱
대표사진 삭제
일류첸코가 측면으로 빠지면서 팔로세비치의 공간을 만든다
서울에게 실점하기 전까지 포항의 공격은 세련되었다. 중앙에 있던 선수는 측면으로, 측면에 있던 선수는 중앙으로 들어가는 스위칭 플레이를 보였다. 동시에 원터치로 패스를 이어가면서 속도감 있는 플레이를 구사했다.
포항의 빠른 전개에 흔들린 서울은 수비 밸런스가 붕괴되며 박스 근처까지 쉽게 공간을 내주었다. 막판 집중력을 보이며 실점을 1점 내주는데 그쳤지만, 포항이 결정력이 좋았다면 추가 실점도 충분히 있을 수 있었다.
특히, 최전방 공격수로 나온 일류첸코의 활동 범위가 인상적이었다. 중앙에서 측면으로 1선에서 2선까지 활동 범위를 늘리면서 포항의 공격 전개에 기여하였다.
오늘 경기에서 일류첸코에게 슈팅 찬스가 별로 나지 않은 것은 측면 윙어의 공격력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전반에 교체된 팔라시오스가 서울의 측면을 파괴했다면 일류첸코의 헌신이 결과를 맺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점 뒤 무너진 포항 스틸러스
서울에게 코너킥 실점을 한 포항은 급속도로 무너졌다. 미드필더에서 볼 키핑은 불안했고, 자기 진영에서 패스 정확도도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는 분위기가 오른 서울에게 좋은 먹이가 되었다.
그리고 후반 전에 경기가 완전히 넘어갔다. 하프 타임 이후 FC서울의 선수들은 최용수 감독에게 한 소리 들었는지, 강한 압박으로 포항의 플레이를 방해했다. 다소 거친 반칙이 있을 정도로 포항을 밀어붙였다.
하창래의 부상으로 인한 교체가 결정타였다. 하창래가 나간 후 포항은 리듬이 더 깨졌고, 불타오른 서울의 선수들은 더 강하게 포항을 압박했다. 코너킥에서 오스마르의 헤더 골이 터지면서 포항은 경기를 포기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번 경기는 포항이 경기력을 꾸준하게 보여주지 못하면서 싱거운 경기가 되고 말았다. 공격진에 어린 선수와 외국인 선수가 있어 분위기를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포항으로서는 고쳐야 할 과제가 발생한 것이다.
FC서울은 필드골 부족 문제를 풀어나가야 미래가 있다. 2골이 나긴 했지만, 모두 세트피스로 나왔다. 세트 피스로만 골이 터지면 공격진의 존재감이 떨어져 득점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공격 위치 선정 훈련을 잘해 필드골 부족 문제를 개선했으면 좋겠다.
3R까지 2승 1패, 시작은 훌륭하다. 다만, 작년과 같은 경기력이라 우려가 된다. 서울의 프리 시즌은 언제 의미가 있을까? 리그 초반부터 강력한 서울의 모습을 빨리 보고 싶다.
'국내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테스트 수상자의 FC서울 리뷰] FC서울 - 전북 현대 (0) | 2020.06.06 |
---|---|
[콘테스트 수상자의 FC서울 리뷰] FC서울 - 성남FC (0) | 2020.05.31 |
[콘테스트 수상자의 FC서울 리뷰] FC서울 - 광주FC (0) | 2020.05.18 |
[콘테스트 수상자의 FC서울 리뷰] FC 서울 - 강원 FC (0) | 2020.05.10 |
2019 K리그 리뷰: 38R FC서울 - 대구FC (0) | 2019.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