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축구

[콘테스트 수상자의 FC서울 리뷰] FC서울 - 울산현대

 

대표사진 삭제

 

경기 스코어

처참한 수비, 생기잃은 선수들

 

FC서울이 울산 현대에게 0-3으로 패배했다. 이로써 4경기 만에 무패 행진이 끝났다. 완패였다. 골 결정력과 조직력에서 앞선 울산이 당연히 이길 경기였다.

 

반면, FC서울은 처참한 수비 밸런스와 울산 경기에 앞서 1경기를 뛰고 온 것처럼 발걸음이 무거웠다. 세트피스에서 2실점 한 것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한번은 이해할 수 있었지만 두 번째는 집중력이 모자랐다고 밖에 할 수 없었다.

 

FC서울이 울산에게 상대가 되지 않았던 것은 역습의 부재였다. 울산이 완전히 내려앉아서 카운터만 날리는 팀이 아니었기 때문에 FC서울은 역습 기회가 당연히 나올 것이었다. 그러나 공격 전환마다 전방으로 돌진하는 선수가 없었고 설렁설렁 앞으로 뛰는 모습을 보였다.

 

기본 공격이 안되는데 역습 마저 포기했으니 득점이 나올리 없었다. 경기 플랜이 선수들에게 완전하게 주입되었는지 모르겠다. 오늘 경기는 그냥 일정이 있어야 해서 뛰는 것처럼 보였다. 승리에 대한 의지를 볼 수 없었다. 무엇이 또 선수들을 멈추게 했을까?

 

엇박자나는 압박, 결국 탈이 났다

 

이날 FC서울은 1선만 전방 압박을 실시했다. 2, 3선의 체력 문제를 고려했는지 1선만 울산의 초기 빌드업 방해에 나섰다. 그러나 이것이 완전히 독이 되었다.

대표사진 삭제

어설픈 전방 압박으로 2~3선 공간이 크게 열렸다

1선은 전진 압박을 하고 있고 2선은 라인을 맞추기위해 센터 라인으로 올라왔다. 그러나 3선이 라인을 올리지 못하면서 울산 1, 2선 선수들에게 큰 공간을 내주었다.

 

위 사진을 보면, FC서울의 1, 2선 선수들은 센터 라인 위에 위치해있다. 반면, 3선은 주니오와 신진호 때문에 뒤로 쳐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센터백 황현수가 신진호를 견제하기 위해 주니오를 버리고 오른쪽 측면으로 이동하였다. 연쇄적으로 주니오가 노마크가 되면서 볼을 가지고 있던 박주호는 바로 주니오에게 볼을 연결해 경합을 시켰다.

 

이때라도 김호영 감독 대행은 전방 압박 전술을 포기해야 했다. 수비 밸런스가 계속 깨지는데 이를 유지하면서 스스로 무너지는 선택을 하고 말았다.

대표사진 삭제

계속 열리는 최종 수비 라인

수비 밸런스가 불안한 점을 캐치한 울산 선수들은 이를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하였다. 일례로 박정인, 주니오가 측면으로 서울의 센터백을 유인하고 고명진이 전진을 해 중앙 공간 창출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 오프사이드로 인해 무위로 끝났지만 골키퍼와 1:1 찬스를 내줄뻔 하였다.

 

수비 불안이 계속되자 울산의 공격은 더욱 거세졌고, FC서울은 볼을 걷어내기 바빴다. 덕분에 코너킥 찬스가 여러번 나면서 실점의 빌미가 되었다.

 

한승규의 분투는 아쉬울 뿐

 

FC서울에서 가장 좋은 경기력을 보여준 선수는 한승규였다. 공격, 수비 넓은 활동량을 가져가며 FC서울이 승리할 수 있게 노력하였다. 그러나 주변 동료들이 뒤를 받쳐주지 못하면서 그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었다. 개인적으로 좌우 윙어로 나온 정한민과 조영욱의 부진이 결정적이었다.

 

또한, 한승규에게 있었던 아쉬움은 많은 것을 혼자 짊어지려 한 것이다.

대표사진 삭제

FC서울의 초기 빌드업

울산의 압박때문에 FC서울의 초기 빌드업은 원활하지 않았다. 탈압박이 가능한 미드필더가 전무하므로 측면에서 롱킥을 넣거나 골키퍼에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한승규가 3선까지 내려와 볼 배급에 관여했다. 그마저도 탈압박에 능숙한 선수가 아니라 큰 도움은 되지 않았었다.

 

이런 움직임은 팀에게도 좋지않았다. 앞선에서 볼을 배급할 한승규가 내려오면서 전방은 더 고립될 수 밖에 없었다. 최전방 공격수 윤주태가 내려와 공격 활로를 뚫으려 했지만 역시 큰 도움은 되지 않았다. 역시 걸출한 박스 투 박스형 미드필더가 서울 라인업에 없었다는 것이 안타까웠다.

 

기성용의 복귀, 한 줄기 희망은 봤다

 

기성용이 들어온 후반 65분부터 분위기는 FC서울로 넘어왔다. 그동안 없는 취급을 당했던 중앙 미드필더에서 존재감 넘치는 선수가 들어오자 FC서울도 힘을 받기 시작하였다. 기성용은 여전히 최상급 볼 키핑과 장거리 킥을 가지고 있었다. 울산 선수들은 무리한 태클로 기성용을 제어하려고 했고 기성용의 롱 킥 한번에 측면이 열리기도 했다.

 

후방에서 볼 배급이 되는 선수가 왔기 때문에, 오스마르가 수비형 미드필더로 복귀하면 한승규를 더 공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윙어들이 제몫만 다한다면 윤주태와 한승규는 공격 포인트를 쓸어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성용, 한승규 선수는 부상 당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기성용 선수에 대한 다른 구단 선수들의 견제가 심할 것이다. 귀중한 선수를 소중히 지켜서 다음 시즌이 기대되는 팀으로 이번 시즌을 마쳐주길 바란다.

 

체력 저하는 반드시 해결해야

 

지난 경기부터 선수들의 몸 상태가 무거워보인다. 아무래도 새로운 전술을 익히느라 많은 훈련을 할 것이라 본다.

 

하지만 여름에 많은 훈련은 오히려 경기 체력을 뺏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습도가 높은 우리나라 날씨 특성상 체력 저하가 더 심하게 나타날 것이다. FC서울은 1, 2군간 실력 차가 커서 로테이션을 돌리기에도 힘든 것이 있다.

 

김호영 대행이 성적에 쫓기는 것은 알겠지만 오버 트레이닝 되는 것은 주의해야 할 것이다. 현재 경기력은 최용수 감독이 경질되었던 것과 비슷했다.

 

현재 FC서울은 빌드업을 가다듬기보다는 역습 패턴 중심으로 전술을 짜야한다. 역습이 득점 확률이 더 높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격수들의 충분한 휴식이 보장되어야 한다. 공격 전환 시 스프린트도 못할 정도로 체력이 저하되었다. 이대로면 다음 부산 전도 장담하기 어렵다. 현명한 판단을 하기 바란다.


죄송합니다.

개인 사정이 있어 K리그 18R FC서울 - 울산 현대 경기 리뷰를 늦게 올리게 되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T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