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병 폭발, 슈퍼 매치 대승
FC서울의 오스마르와 페시치가 동반 폭발했다. 오스마르의 파워 프리킥으로 시작해 페시치의 결정력으로 끝났다. 지난 경기는 FC서울이 페시치가 빠지면서, 공격력이 반감된 느낌이 있었다. 하지만, 경기력을 찾은 두 외국인 듀오의 활약으로 슈퍼 매치를 잡아냈다.
오스마르의 경기 감각이 최고조에 오른 것 같다. 멋진 킥을 두 차례 보이면서, 클래스를 증명했다. 수비에서도 끊임없이 지시하고, 위치를 조정해 전반 중반부터 흔들렸던 FC서울의 수비 라인을 안정시켰다.
페시치의 결정력도 무르익고 있다. 단 2차례 슈팅으로 2골을 만들었다. 자신의 몸값을 다한 플레이였다. 주변 지원이 부족함에도 직접 해결하면서, K리그 득점 1위에 올랐다. 지난 시즌 빈곤했던 공격력을 100% 메우는 복덩어리다.
같은 전술 다른 느낌
3-5-2 포메이션. 두 팀 모두 같은 진형을 가지고 나왔다. 그러나 풀어가는 과정은 상반되었는데, 수원은 서울의 미드필드를 괴롭힌 반면, 서울은 측면에서 돌파구를 찾으려고 했다.
그리고 초반 경기 운영도 서울은 공격적, 수원은 수비적으로 나왔다. 전반까지 경기 운영 측면에서는 수원이 더 나았다. 서울이 점유율은 더 가져갔으나 두텁게 나온 수원의 수비를 뚫는데 애를 먹었다. 반대로 수원은 한껏 올라온 서울의 뒷공간을 지속적으로 노리며, 결정적인 상황을 몇 차례 만들었다.
팽팽했던 경기가 서울로 넘어가게 된 이유는 수원의 미드필더를 쓸어주던 최성근이 부상으로 교체 아웃되면서 시작했다. 수원의 이임생 감독은 같은 포지션 교체 대신 공격수 타가트를 넣으면서 변화를 먼저 꾀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는 악수였다.
전반전에서 공격을 주로 담당하던 사리치에게 수비 부담이 생기고, 서울이 수비적으로 나오면서 오히려 수원이 전반전 서울처럼 뒷공간이 열렸다. 그래서, 페시치에게 불의의 역습을 맞고 역전골을 허용, 급해진 수원이 무리하게 경기를 운영하면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이임생 감독도 후반 23분 데얀을 빼고 다시 밸런스를 잡기 위해 수비수 박형진을 넣었지만, 경기는 이미 넘어간 상태였다.
경쾌했던 서울, 선봉장 페시치
A매치 휴식기 이후, 경기라서 그런지 그동안 무거웠던 서울 선수들의 몸 돌림이 경쾌했다. 그리고 1~2선 선수 간의 연계 플레이 훈련을 많이 했는지 전반 초반에는 원투 패스를 자주 이어가며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수원이 전투적으로 나오자 준비했던 것들도 금방 사그라들었다. 이때, 서울의 숨고를 터준 게 페시치이다. 페시치는 마무리, 기술, 활동량까지 K리그 최고의 외국인 선수 수준이다. 특히, 수원의 강한 압박으로 공격 전개가 힘들어지자, 직접 미드필더까지 볼을 받으러 나오고 측면에 위치하면서 개인 돌파를 시도해 서울의 공격 활로를 열어 주었다.
위 사진에서도 페시치가 측면에서 개인 돌파를 통해 수원의 수비를 흔들어 주었고, 이후 고요한이나 박주영, 윙백 고광민에게 연결하면서 공격 기회를 이어나갔다. 현재, 서울에서 빠지지 말아야 할 선수가 있다면 페시치이다. 당장 페시치가 이탈하면, 50% 이상 공격력이 감소할 것이다.
옥에 티
경기 운영, 득점, 침착성, 수비 등 올해 두 번째 슈퍼매치에서 서울은 수원을 완전히 제압했다. 그러나 실점이 계속되고 있는 부분은 옥에 티이다. 이날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수비형 미드필더 포지션을 맡은 정현철의 수비 백업이 약간씩 늦는 것이었다.
정현철의 포지션은 서울의 전술 운용에서 중요하다. 공격 시 빌드업의 기점이 되고 수비 시에는 측면과 동시에 중앙도 방어해야 하는 넓은 수비 범위를 가져가야 한다. 그러나 정현철의 기량이 20% 정도 아쉽다.
측면으로 볼이 나갔을 때, 빈 공간 백업이 느리고, 상대 2선 선수의 돌파에 대한 수비 위치 선정이 약간 어긋난다. 경기 분석을 통해, 잘못된 수비 판단을 되짚어 보았으면 좋겠다. 정현철 선수가 한 단계 성장한다면, FC서울이 클린 시트를 기록하는데 큰 공헌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김원식, 황현수 선수의 발전도 동반되어야 한다. 앞선 미드필더가 수비 판단에 약점이 있으면 뒤에서 지시를 통해 보완해주어야만 한다. 근데, 두 선수는 자신의 플레이 외의 것들을 신경 쓰는데 부족하지 않나 싶다. K리그에서 경쟁력 있는 선수로 남으려면 지금 수준으로는 부족하다.
다가오는 폭염, 이제는 정신력이다
7~8월 경기가 올해 순위 싸움을 결정짓는데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한다. 지난 해도 폭염 시기에 혹사당한 이후 9월 들어 급격히 컨디션이 꺾이면서 강등 위기까지 왔었다. 최대한 무더운 여름에 승점을 챙긴 뒤에 로테이션을 돌리면서, 상위 스플릿 잔류를 노려야 한다.
주전들의 경기 소화량이 많은 서울로써는 이 기간 동안 최대한 실리적 운영을 가져가야 한다. 남은 6월 일정도 쉽지는 않다. 대구, 울산 경기를 연이어 치르는데 연승을 이어갔으면 좋겠다.
결국, 서울의 올 시즌 목표는 상위 스플릿 진출이었다. 최용수 감독이 영리하게 팀을 운영할 것이라고 믿는다. 여름 이적 시장 동안, 보강할 수 있으면 부족한 미드필더나 윙백 자리 보강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국내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K리그 리뷰: 19R FC서울 - 강원FC (0) | 2019.07.07 |
---|---|
2019 K리그 리뷰: 17R FC서울 - 대구FC (0) | 2019.06.22 |
2019 K리그 리뷰: 15R FC서울 - 경남FC (0) | 2019.06.02 |
2019 K리그 리뷰: 14R FC서울 - 성남FC (0) | 2019.05.28 |
2019 K리그 리뷰: 13R FC서울 - 포항 (0) | 2019.05.25 |